반응형
코딩하기 전 생각하기
/*
벡터를 정렬했을 때 중앙에 오는 값이 Majority Element이다.
*/
코드
class Solution {
public:
int majorityElement(vector<int>& nums) {
sort(nums.begin(), nums.end());
return nums[nums.size() / 2];
}
};
느낀점
이중 반복문을 이용한 풀이가 시간초과가 나서 Solution의 도움을 받았다.
sorting을 사용하는 것은 정말 좋은 아이디어인 것 같다.
(주의) 기록용으로 작성한 글입니다. 코드가 허접하거나 알고리즘의 효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.
댓글 환영합니다!
반응형
'Algorithm > LeetCod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eetCode] 1047. Remove All Adjacent Duplicates In String (C++) (0) | 2021.07.31 |
---|---|
[LeetCode] 1209. Remove All Adjacent Duplicates in String II (C++) (0) | 2021.07.30 |
[LeetCode] 412. Fizz Buzz (C++) (0) | 2021.07.29 |
[LeetCode] 125. Valid Palindrome (C++) (0) | 2021.07.29 |
[LeetCode] 35. Search Insert Position (C++) (0) | 2021.07.29 |
댓글